성인 간호학, 종양 문제를 가진 대상자 간호에 대한 요약 정리

성인 간호학 수강 중인 간호학과 학생들을 위해 종양 문제를 가진 대상자 간호중재 및 치료중재에 대한 내용을 공유합니다. 암 병태생리, 암 분화도 등급 및 암 병기 구분에 대한 내용과 암 환자 치료중재, 간호중재를 위한 항암화학요법, 방사선 요법, 수술 치료 대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암 진행의 병태생리

1. 세포 증식과 암세포

암세포 증식 사례

세포는 성장과 분열 및 소멸을 조절하면서 세포 수의 균형을 유지하는데 정상세포가 손상될 경우 다시 회복하여 본래의 역할을 하지만 회복하지 못할 경우 소멸하게 된다. neoplasma은 새로운 성장이라는 뜻으로 세포분열을 억제하는 신호가 없거나 변형되어 계속 분열되며 증가하는 것이다. 암은 아직 발생원인과 기전이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으며 정상적인 통제기능이 소실되고 무절제한 방식으로 과도한 증식을 하는 특징이 있다.

비정상세포의 특성

  1. bigin tumor cell : 정상세포가 잘못된 부위, 잘못된 시간, 잘못된 속도로 성장하는 것이다.
  2. cancer cell : 신체조직에 해로운 비정장적 세포로 지속적이며 빠른 세포분열, 미분화 형태, 핵 비율 증가, 분화기능 상실, 세포 응집력 저하, 침습, 접촉 억제 발생하지 않고 정배수체가 아니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발암

Carcinogenesis(발암)는 initiative period, promotional period, progressive period을 통해 이루어진다.

  • initiative period : 발암물질이 세포내 핵으로 들어와 암세포로 변화시킨다
  • promotional period : 성장이 가속되어 종양을 형성한다.
  • progressive period : 종양은 tumor angiogenesis factor를 만들고 종양에 새로운 혈관을 형성되도록 한다. 종양세포가 계속 분열하면서 새로운 악성세포를 만들고 다시 확산되어 다른 부위로 전이 될 수 있다.

암의 전이

  • 개체 내 요인 : 연령, 유전적 소인, 면역기능저하 등이 있다.
  • 개체 외 요인 : 화학적 발암물질, 방사선 등의 노출, 감염, 자극적 음식, 알콜, 비위생적인 음식 섭취, 운동부족, 안전하지 못한 성생활, 심리적 요인 등이 있다.

2. 증상

  • 국소증상 : 암의 3대 국소 증상으로 압박, 인접 조직 괴사, 폐색이 있다.
  • 전신증상 : anemia, infection, cachexia, pain, 사회심리적 변화 등을 겪게 된다.

진단 병기와 등급

1. 진단 검사

암 검사 방법으로는 혈액검사, 조직검사, 세포검사, 방사선검사, 내시경검사, 방사성동위원소검사, 초음파검사, MRI, PET 검사 등이 있다.

2. 암의 분화도 등급 및 병기 구분

분화도는 1~4까지 등급으로 분류하며 가장 낮은 1등급은 종양이 정상세포와 유사하게 분화가 잘 된 상태를 의미하며 가장 높은 4단계는 분화가 안되어 정상세포와 형태가 다른 것을 의미한다.

병기는 미국암협회가 개발한 TNM 분류체계를 전세계 공통적으로 사용한다. T-범위, N-림프절 전이의 정도, M-원격전이 유무에 따라 숫자로 표시한다.

TNM 분류체계
Primary tumor size To 원발종양의 증거 없음
Tis 상피내암
T1 원발장기내에 병변이 있음
T2 국소적인 병변, 주변 구조물 내 깊이 자리함
T3 진행된 병변, 원발장기 분위에 제한됨
T4 진행된 병변, 주변 장기내로 퍼짐
Regional lymph node No 림프절에 병변의 증거 없음
N1 국소림프절 내 병변의 증거가 있으나 전이되지 않았음
N2,3,4 국소림프절 침범이 증가됨
Anatomic extent mestastasis Mo 전이가 없음
M1,2,3 원거리 림프절과 타기관의 기능적 손상을 포함한 전이의 정도가 악화됨

 

주요 치료적 중재 및 암 환자 간호중재

1. 암 환자 치료적 중재

수술 치료

  1. 암 완치를 위한 수술 : 국소 제거술과 근치절제술이 있으며 근치절제술은 종양과 주위조직, 림프절을 모두 제거하여 치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외모의 손상과 기능장애를 초래할 수 있다.
  2. 암 진단을 위한 수술 : 조직과 세포를 분류하고 형태를 검사하기 위해 실시한다.
  3. 골수 검사 : 골수 검사는 혈액질환을 진단하는데 필수적인 검사이며 치료의 방향을 결정하는데 아주 중요한 검사 입니다. 또한 골수 검사를 통하여 치료 후 혈액 질환의 진행 여부와 치료에 대한 반응을 알게 됩니다. 그리고 종양의 골수침범 여부도 확인할 수가 있습니다.
  4. 종양항원검사 [ tumor marker test ] : 종양표지자(tumor marker)란 종양에 의해 또는 종양에 대한 인체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 물질로서 종양의 존재를 확인하는데 이용되는 물질을 지칭한다. 이러한 종양표지자 검사는 암의 선별 검사, 진단, 예후 판정, 치료효과 판정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5. 암 예방을 위한 수술 : 암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있은 병변을 제거하는 것으로 결과가 장기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칠지 몰라 꼭 필요한 경우만 실시한다.
  6. 증상 완화를 위한 수술 : 암의 증상이나 합병증을 완화하기 위해 시행한다.
  7. 재건을 위한 수술 :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수술 후 기능회복이나 성형효과를 위해 실시한다.

항암화학요법

  1. 암을 치료하기 위해 세포독성 약물을 체계적으로 투여하는 것으로 cure, control, palliation한다.
  2. 항암화학요법제 투여 : 암세포를 최대한 파괴하고 정상세포의 손상은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투약계획표에 따라 규칙적으로 투여한다. 대개 3~4주 마다 1 cycle을 실시하며 평균 6~12회 실시한다. 투약 계획은 골수기능 최저점을 고려한다.
  3. 투약경로 : 구강, 정맥, 동맥, 사지관류, 체강 내 등으로 다양하다.
  4. 용량계산 : 성인의 경우 체표면적에 근거하며 정확한 용량 유지를 위해 체중의 변화를 모니터하여 약사에게 알린다. 대상자의 신장기능, 폐질환, 심부전 등의 질환이 있는 경우 투여용량을 조절한다.

방사선 요법

단독치료 또는 수술요법이나 항암화학요법제와 병용하는 국소적 치료법이다.

  1. 방사선 조사 시 주의사항 : 정상조직이 불필요하게 노출되지 않도록 하며 종양내에서 효과적으로 이온화 되도록한다.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조직은 망상내피계와 배아조직에서 생긴종양이고, 거의 반응하지 않는 조직은 골격과 근육이다. 적은양을 장기간에 분할투여하여 암세포 파괴를 돕고 정상조직의 손상을 최소화한다.
  2. 사용한 방사선의 종류, 삽입시간, 제거예상시간, 주의사항, 응급 시 연락할 곳을 알아둔다.
  3. 방사성 물질이 삽입된 기간 동안 대상자를 1인실에 격리한다.
  4. 반감기가 짧은 것이 덜 위험하다.
  5. 간호사는 납으로 된 가운과 장갑을 착용하고 가능한 짧게 간호하며 1m 이상의 거리를 둔다.
  6. 사용한 물품은 특수 용기에 폐기한다.
  7. 대상자의 치료실 밖에 방사선 주의 표시를 한다.
  8. 체강 내에 삽입 했을 때 방사선원을 분실하지 않도록 한다.
  9. 원래의 위치를 벗어난 삽입물에 대해서는 즉시 보고하고, 방사선원이 밖으로 떨어지거나 노출된 경우 절대 만지지 말고 겸자나 젓가락을 사용하고 그 장소의 오염 여부를 검사한다.
  10. 밀봉하지 않은 방사선원은 체내의 어떤 조직이나 체액에서도 발견될 수 있으므로 체액과 배설물을 주의한다.
  11. 방사선요법의 효과 : 방사선 요법으로 완화되는 증상은 종양에 의한 출혈, 뼈전이로 인한 통증, 혈관 폐쇄, 위장폐쇄, 신장 요관 폐쇄, 기관 내 폐쇄, 척수압박, 뇌전이로 인한 신경학적 증상 등이 있다.
  12. photodynamic theraphy : 주로 폐암과 식도암에 적용하며 대상자의 골수를 깨끗하게 할 때도 광역학요법을 적용한다. 원리는 photosensitizer가 종양조직에 잘 축적되는 성질을 이용한 것으로, 광감각제를 투여한 후 그에 민감한 레이저를 조사하여 세포를 손상 또는 사멸시킨다. 광감각제 투여 후 48시간 동안 레이저 치료를 한다.
  13. biotheraphy : 생물학적인 반응에 영향을 줌으로써 치료하거나 생물학적 자원에서 나온 물질로 치료하는 것으로 면역요법이라고도 한다. 생물요법의 목적은 면역체계를 회복시키고 강화시키거나 수정하는 물질인 interferone,interleukin, hematopoietic growth factors와 같은 cytokine과 단클론항체, 백신, 유전자치료 등이 포함된다.
  14. 표적치료 : 암세포의 성장에 관여하는 특정 표적인자에 작용하여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하거나, 사멸하는 치료 방법으로 특정 암세포만을 공격하므로 항암화학요법에 비해 정상세포의 손상과 부작용이 적다.

2. 암 환자 간호중재

수술 전후 간호

  1. 수술 전 간호 : 대상자의 정서상태와 신체 상태를 사정하여 수술을 견디고 회복할 수 있는지 karnofsky performance scale, eastern cooperative oncology scale을 사용하여 평가한다. 또한 대상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여 적응을 돕는 중재를 한다.
  2. 수술 후 간호 : 수술 후 합병증 발생을 관찰하며 안위를 제공한다. 대상자는 수술과정과 결과, 장애, 신체기능의 변화, 예후 등에 대한 불안을 경험한다. 지속적인 치료를 위해 퇴원교육과 추후관리 및 가정간호를 받을 수 있도록 교육한다.
  3. 암 수술 후 합병증 : 수술과 방사선 요법, 항암화학요법을 병용할경우 감염, 상처치유지연, 정맥혈전과 같은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항암요법 간호중재

  1. 항암제 주입 시 안전간호 : 처방에 따른 투여방법, 용량, 용법 확인하기, 비침투성 가운 및 보호안경 착용, luer-lock 부착 주사기 사용, vial 양압 금지하며 가능한 hydrophobic filter로 구멍내기, 약물이 피부에 닿았을 경우 즉시 물과 비누로 씻어내고 눈에 튀었을 경우 15~30분 동안 철저히 세척하여 진료를 받도록 한다. 과정 전과 후에 반드시 손을 씻도록 한다. 혈관내로 정확하게 주입되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혈액을 흡인해보며 투여 종료 후 충분한 양의 생리식염수를 관류한 후 다음 항암제를 연결한다.
  2. 투약 시 처방과 대상자를 확인하고 대상자의 상태를 사정한다. 대상자와 그의 가족에게 교육을 제공하며 투여 전 후 손위생을 한다. 항암제가 주입되는 동안 수액세트의 손상, 연결부위의 유출 여부에 대해 주기적으로 관찰하고 주입펌프의 작동 여부를 확인한다. 알레르기 반응이나 일혈 발생 여부를 관찰한다.
  3. 히크만카테터 : 항암제를 주기적으로 안전하게 맞기 위해 신체 깊숙이 있는 굵은 중심정맥에 삽입된 기구(카테터)인 케모포트는 보통 심장 쪽의 피부 밑에 있으며 약물의 투입구만 피부 밖으로 나와 있다. 일반적인 정맥 카테터보다 오랫동안 몸 안에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포트 사용 역시 감염 위험성이 존재하기 때문에 청결을 유지가 중요하다.
  4. 케모포트 : 히크만 카테터는 삽입된 기구의 줄 부분이 피부 밖으로 나와 있는 걸 말한다. 이 카테터 삽입 시술을 받았다면 퇴원 후에 관리방법에 대해 미리 교육을 받고 충분히 실습해야 한다. 이러한 카테터를 삽입하게 되면 부작용이 없는 한 장기간 유치하게 되므로 적절한 관리가 필요하다. 장기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아이오다인 캡을 매주 한번 교환해야 한다.

항암화학요법 부작용과 간호

항암화학요법 부작용

  1. 위장관 장애 : Chemo theraphy induced nausea and vomiting, diarrhea, stomatitis, constipation 등이 나타난다.
  2. 피부독작용 : alopecia, rashes, photosensitivity, 손발톱의 비정상적인 성장 등이 나타날 수 있다.
  3. 생식기계 : 항암제 장기투여시 불임과 조기폐경이 올 수 있음을 미리 알리며 항암치료가 끝난 2년 후 부터 임신하도록 한다.
  4. 요로계 : 항암화학요법이 빠르게 암세포를 용해시키면 요산 생산과 배설이 증가하여 신장에 손상을 주므로 BUN,creatinine clearance, 전해질을 평가하고 영향을 파악하여 약물 용량의 조절을 고려해야 한다
  5. 종양용해증후군 : 종양용해증후군은 주로 혈액암 환자에게 나타나는 부작용이다. 항암제를투입한 후 암세포가 파괴되면서 몸속 인산과 칼륨, 요산, 칼슘 전해질 등이 혈중으로 스며들면서 심각한 전해질 불균형이 발생한다.
  6. 심장, 호흡기계 : 심근 독성을 유발하는 일부 항암제가 있어 항암화학요법 시작 전 심장기능을 평가하고 치료중 심부전 징후가 없는지 사정한다.
  7. 신경계 : 중추신경계 또는 말초신경계가 직, 간접으로 손상되어 말초신경병, 반사기전 상실, 청력상실, 마비성장폐색이 발생할 수 있다.
  8. 전신영향 : 활동수준 감소, 영양불량, 스트레스, 수면부족, 빈혈, 저산소증, 감염, 발열, 통증, 치료제의 종류에 따라 피로가 발생하게 된다. 간호사는 균형있는 활동과 휴식을 취하고 적절한 영양섭취가 이루어지도록 교육한다.
  9. extravasation : Vesicaant가 피부로 침윤되면 심한 조직파괴와 괴사를 유발하게 된다. Irritant 침윤시 정맥 내막의 손상 정맥염과 경화를 유발하지만 조직괴사는 야기하지 않는다.이러한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약물 주입을 중단하고 수액세트를 분리하여 정맥카테터에 남아있는 약물을 흡입한 후 바늘을 제거하여 그 부위를 소독한다.
  10. 항암제 주입과 관련된 반응으로 flare reaction, hypersensitivity, anaphylaxis등이 나타날 수 있다.

방사선요법 부작용과 간호

(1) 방사선 노출 부위 별 부작용
노출 부위 별 부작용
노출 부위 부작용
두경부 – 구내염

– 구강건조

– 치아부패 및 우식

– 방사성 골괴사

– 뇌하수체 기능 저하

– 미각 변화

  흉부 – 식도염

– 기침

– 방사성 폐렴

– 폐섬유종

복부 – 위염

– 오심

– 구토

골반 – 설사

– 방광염

– 발기불능

– 자궁협착

– 난소부전

– 정자생성장애

– 뇌부종

– 탈모증

(2) 방사선 치료 부위의 피부간호
방사선 치료 환자 피부
방사선 치료를 받은 환자의 피부
  1. 피부를 건조하게 유지한다.
  2. 지시가 있기 전까지 씻지 않는다.
  3. 피부에 표시된 선을 지우지 않는다.
  4. 치료 부위에 파우더, 로션, 크림, 알코올, 방취제 등을 사용하지 않는다.
  5. 치료 부위의 마찰을 피하기 위해 느슨한 면옷을 입는다
  6. 드레싱 시 치료부위 위에 테이프를 붙이지 않는다.
  7. 전기 면도기를 사용하고 면도 후 스킨이나 로션은 바르지 않는다.
  8. 햇빛, 실내 수영장, 더운 물주머니, 전기패드 등은 피한다.
  9. 피부발적, 홍반, 표피탈락 등이 있으면 즉시 보고한다.

How useful was this post?

Click on a star to rate it!

Average rating 5 / 5. Vote count: 100

No votes so far! Be the first to rate this post.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