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사선 요법 간호중재 및 표적 치료, 레이저 광화학 치료, 면역요법, 표적치료, 호르몬 요법, 조혈모세포 이식 등 다양한 암 치료 간호중재와 방사선 요법 부작용과 같이 각 항암치료 별 부작용과 간호중재에 대한 요약 노트를 공유합니다. 간호대 학생 또는 암 환자 간호에 도움이 되시기 바랍니다.
방사선 요법
방사선 요법은 고에너지 방사선을 이용해 암세포를 파괴하는 국소적 치료법 중 하나로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수술 및 항암화학요법과 병행하여 사용한다.
1. 방사선 조사 시 주의사항
- 정상조직이 불필요하게 노출되지 않도록 하며 종양 내에서 효과적으로 이온화되도록 해야 한다.
-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조직은 망상내피계와 배아 조직에서 생긴 종양이고, 거의 반응하지 않는 조직은 골격과 근육이다.
- 적은 양의 방사선을 장기간에 분할 투여하여 암세포 파괴를 돕고 정상조직의 손상을 최소화하는 데 치료 목적이 있다.
2. 방사선 요법 형태
- 원격 방사선 치료(Teletherapy) : 몇 초 ~ 몇 분 동안 특수한 방사선을 종양 부위에 조사(beam radiation)한다. 방사선 조사 전 종양의 부위를 정밀하게 측정하고 처치 시마다 조사부위를 확인하고 기록하는 방식
- 근접 방사선 치료(Brachytherapy) : 방사선원이 일정기간 동안 종양 조직과 직접 닿도록 하는 치료법
3. 방사선 요법 간호
- 사용한 방사선의 종류, 삽입시간, 제거 예상시간, 주의사항, 응급 시 연락할 곳을 알아둔다.
- 방사성 물질이 삽입된 동안 대상자를 1인실에 격리한다.
- 반감기가 짧은 것이 덜 위험하다.
- 간호사는 납으로 된 가운과 장갑을 착용하고 가능한 짧게 간호하며 1m 이상의 거리를 둔다.
- 사용한 물품은 특수 용기에 폐기한다.
- 대상자의 치료실 밖에 방사선 주의 표시를 한다.
- 체강 내에 삽입했을 때 방사선원을 분실하지 않도록 한다.
- 원래의 위치를 벗어난 삽입물에 대해서는 즉시 보고하고, 방사선원이 밖으로 떨어지거나 노출된 경우 절대 만지지 말고 겸자나 젓가락을 사용하고 그 장소의 오염 여부를 검사한다.
- 밀봉하지 않은 방사선원은 체내의 어떤 조직이나 체액에서도 발견될 수 있으므로 체액과 배설물을 주의한다.
4. 방사선 치료 효과
방사선 요법으로 완화되는 증상은 다음과 같다.
- 종양에 의한 출혈
- 뼈 전이로 인한 통증
- 혈관 폐쇄
- 위장폐쇄
- 신장 요관 폐쇄
- 기관 내 폐쇄
- 척수 압박
- 뇌 전이로 인한 신경학적 증상 등
5. 방사선 요법 부작용
방사선에 노출된 부위별 부작용은 다음과 같다.
- 두경부 : 구내염, 구강 건조, 치아부패 및 부식, 방사성 골 괴사, 뇌하수체 기능 저하, 미각 변화
- 흉부: 식도염, 방사성 폐렴, 기침, 폐렴
- 복부: 위염, 오심, 구토
- 골반: 방광염, 발기 부전, 설사, 자궁 협착, 난소 부전, 정자 생성 장애
- 머리 : 뇌부종, 탈모증
6. 방사선 요법 간호
- 피부를 건조하게 유지한다.
- 지시가 있기 전까지 씻지 않는다.
- 피부에 표시된 선을 지우지 않는다.
- 치료 부위에 파우더, 로션, 크림, 알코올, 방취제 등을 사용하지 않는다.
- 치료 부위의 마찰을 피하고자 느슨한 면 옷을 입는다
- 드레싱 시 치료 부위 위에 테이프를 붙이지 않는다.
- 전기면도기를 사용하고 면도 후 스킨이나 로션은 바르지 않는다.
- 햇빛, 실내 수영장, 더운 물주머니, 전기 패드 등은 피한다.
- 피부발적, 홍반, 표피탈락 등이 있으면 즉시 보고한다.
레이저 광화학 치료 (Photodynamic therapy)
주로 폐암과 식도암에 적용하며 대상자의 골수를 깨끗하게 할 때도 광역학요법을 적용한다. 원리는 광감작제(photosensitizer)가 종양 조직에 잘 축적되는 성질을 이용한 것으로, 광감각제를 투여한 후 그에 민감한 레이저를 조사하여 세포를 손상 또는 사멸시킨다. 광감각제 투여 후 48시간 동안 레이저 치료를 한다.
면역요법 (Biotherapy)
생물학적인 반응에 영향을 줌으로써 치료하거나 생물학적 자원에서 나온 물질로 치료하는 것으로 면역요법이라고도 한다. 생물요법의 목적은 면역체계를 회복시키고 강화하거나 수정하는 물질인 인터페론(interferon), 인터루킨(interleukin), 조혈 성장인자(hematopoietic growth factors)와 같은 사이토카인(cytokine)과 단클론항체, 백신, 유전자치료 등이 포함된다.
표적 치료
암세포의 성장에 관여하는 특정 표적인자에 작용하여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하거나, 사멸하는 치료 방법으로 특정 암세포만을 공격하므로 항암화학요법과 비교하면 정상 세포의 손상과 부작용이 적다.
표적치료제 종류 및 간호법
- EGFR (단클론항체억제제), Cetuximab(Erbitux), Panitumumab(Vectivix) : 여드름 모양의 발진, 오심, 설사, 복통, 피로 등의 부작용 관찰
- EGFR tyrosine kinase 억제제, Gefitinib(Iressa), Erlotinib(Tarceva), Imatinib(Gleevec) : 피부건조증, 여드름 모양 발진, 설사 등 위장관계 증상 관찰
- HER2(단클론항체억제제), Trastuzumab(Herceptin) : 심장 독성이 있으므로 심장 기능 확인
- Angiogenesis inhibitors(혈관신생억제제), Bevacizumab(Avastin) : 단백뇨, 신증후군, 고혈압, 장천공, 혈전 색전증 등을 관찰 및 소변검사, 혈압 측정
호르몬 요법
호르몬에 민감한 종양의 성장을 빠르게 하며 어떤 종양은 분열할 때 특수한 호르몬이 꼭 필요한 경우가 있다.
조혈모세포 이식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골수를 고용량 항암화학요법과 전신 방사선 조사로 파괴한 후, 본인이나 인간 백혈구 항원(human leukocyte antigen)이 맞는 타인의 조혈모세포를 채취하여 생착을 유도하는 것이다. 혈액 질환 대상자의 장기 생존에 이바지한다.